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타직
  • 기자명 강길수 기자

[지방직 특집 ①] ‘시험계획 발표 언제하나?’ 수험생 발 동동

  • 입력 2020.02.21 11:35
  • 수정 2021.04.16 14:49
  • 댓글 0

지자체별 시험계획 공고 일정 천차만별
‘2월 중’이라는 애매한 표현, 일정 확인으로 학습시간 뺏겨
사전 공개 시 정확한 발표일 공지 등으로 수험생 편의 높여야

지난 5일 경북을 시작으로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방공무원 시험 계획 공고가 이어지고 있다. 부산과 울산, 강원 등이 지난해 대비 30% 이상 선발 규모가 증가한 반면 서울과 제주 등은 20% 이상 선발인원이 감소했다. 지역별로 수험생의 희비가 교차하는 가운데, 21일 기준 아직까지 세부인원을 확인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수험생들도 있다. 바로 세종과 전북 지원 예정자들이다. 19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0년도 지방공무원 신규 충원 계획의 ‘시?도별 선발계획 인원’을 보면 세종은 158명, 전북은 1670명의 지방공무원을 선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중 특정직과 임기제, 별정직 등을 제외한 일반직만 따진다면 세종은 98명, 전북은 131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이 수치를 전년과 비교해보면 세종은 34.2% 선발인원이 감소한 반면 전북은 1.3%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는 직종별, 직급별 전체인원일 뿐 직류별, 시?군 단위의 임용예정기관별 세부인원은 아니다. 결국 수험생이 지원 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 정보는 아무 것도 제시되지 않은 수치이다. 수험생 A씨는 “수시로 도청 홈페이지에 접속해 혹시나 공고가 올라오지 않았을까 확인한다”라며 “시험공고가 빨리 나와야 이런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지원할 곳을 정해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을 텐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또 다른 수험생 B씨는 “정확한 날짜라도 미리 공지해주면 좋을텐데 ‘2월 중’이라는 애매한 공고가 더 힘빠지게 한다”라며 “매번 전화해 문의하기도 힘들고 올해도 지원 예정인 지역의 발표가 가장 늦어질 것 같다”라고 전했다. 수험생의 말처럼 지난 5년간 지자체별 공고 발표일을 살펴보면 늘 빨랐던 곳과 느렸던 곳이 확연하게 보인다. 올해 가장 먼저 공고를 발표한 경북은 지난 2016년에도 가장 빠른 2월 5일 선발계획을 발표했다. 2016년과 2019년 공고가 가장 빨랐던 경기 역시 늘 발표일이 다섯손가락 안에 들었다. 이밖에 대구와 부산, 제주 등도 매년 지자체 평균보다 발표가 빨랐다. 반면 다음 주 공고 예정인 전북과 올해 11번째로 발표한 충남은 지난 5년간 발표가 늦었던 대표적인 곳이다. 전북은 지난 2017년 17개 지자체 중 유일하게 3월에 공고를 발표했으며, 충남 역시 올해를 제외하고는 매년 발표순위 꼴찌를 다투는 등 수험생의 애를 태웠다. 이밖에 충북과 광주, 세종 등도 지난 5년간 지자체 평균보다 발표가 늦었다. 공고가 늦어지자 한 수험생 커뮤니티에서는 ‘가장 늦게 발표할 것 같은 지역’을 설문조사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또 어떤 이는 다른 지역의 지난해 공고 내용을 캡처해 마치 올해 공고인 것처럼 낚시 글을 올려 수험생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이처럼 지자체의 시험계획 발표가 늦어질수록 수험생이 입는 피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한편, 지난 2012년 2월, 정부는 수험생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지방직 일반공무원, 경찰직, 소방직 등 6개 공무원 채용시험은 시험실시 90일 전에 시험일자를 사전 안내하도록 관계법령을 개정하고 2013년부터 이를 시행했다. 기존에는 관례적으로 국가공무원은 시험 3개월 전 사전안내를 실시했고, 지방공무원시험은 사전안내 없이 3개월 미만 시점에 공고가 있었다. 이를 90일 전 사전 안내토록 통일하면서 지원 전략 수립 등 수험생의 편의를 높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가공무원시험은 매년 12월 31일, 다음해 선발인원과 일정을 세세하게 공개하고 있다. 17개 지자체가 모두 같은 날 선발 계획을 공고하는 건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내부 논의 등으로 일정이 늦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사전 공개 시 ‘2월 초’ ‘2월 중’처럼 광범위한 공고가 아닌 정확한 날짜를 공지한다면 수험생이 공고 확인을 위해 허비하는 시간은 줄어들 것이다. 또한 지원하려는 지자체에 대한 신뢰도 높아질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